티스토리 뷰


거북목증후군, 일자목 증후군이라는 단어가 익숙할 정도로 현대인들에게 목 관련 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사용이 많은 젊은 층에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거북목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있을 때 충격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위험할 뿐만 아니라 거북목 증상이 심해지면 어지러움, 안구 피로, 두통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북목이 되지 않도록 평소 올바른 자세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북목 자가진단 방법과 거북목의 위험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북목은 잘못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될 경우 C자형의 경추 만곡 상태가 일자 형태나 역 C자 형태로 변형되며 고개가 앞으로 빠지는 증상이라고 합니다.
거북목이 위험한 이유는 바로 목의 하중 때문인데요.

경추가 변형되며 고개가 1cm 앞으로 빠지게 되면 경추의 윗부분이 2~3㎏의 무게로 눌리게 되며 앞으로 더 많이 빠질수록 최대 15kg까지 목에 하중이 실리게 된다고 합니다.

거북목으로 목에 하중이 실리게 되면 목의 근육과 인대에 무리를 주어 목 디스크가 생기거나 만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0123456

거북목은 스스로 자가진단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본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인데 바른 자세로 서 있을 때 어깨와 귀가 일자로 일치하면 거북목이 아닌 정상 상태이며, 어깨와 목 주변 근육에 통증이 유발되며 귀가 어깨보다 4cm 이상 나와있다면 거북목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거북목인지 궁금하다면 거울이나 다른 사람을 통해 거북목 자가진단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거북목 자가진단 방법은 거북목 자가진단 리스트를 체크해 볼 수 있는데요.
아래 거북목 자가진단 리스트 중 3개 이상 본인이 해당된다면 거북목일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거북목 자가단 리스트]

 

- 하루 평균 7시간 이상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IT 기기를 사용한다.
- 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있다.
- 목과 어깨가 잘 뭉치고 근육이 딱딱하게 긴장되어 있다.
- 목을 돌리거나 스트레칭할 때 소리가 난다.
- 정면에서 거울을 볼 때 양쪽 귀 높이가 다르다.
- 목과 어깨 근육에 잦은 통증이 있고 이유 없는 두통이 있다.
- 등이 굽어져 있다.
- 옆에서 볼 때 귀가 어깨보다 앞으로 나와있다
- 손이나 손목이 자주 저리다.
- 베개를 사용할 때 편하지 않다

 


0123

 

거북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 바른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저 또한 거북목 초기 진단을 받아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학생이나 직장인들의 경우 엉덩이를 의자 뒤쪽까지 밀착시킨 후 등을 구부리지 않고 허리를 세우고 어깨를 쫙 편 자세유지하고 목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책등을 읽을 때에도 고개를 숙이지 말고 눈 높이로 들어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걸을 때에도 고개를 숙이지 말고 어깨를 쫙 펴고 걷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거북목을 미리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거북목 자가진단 방법과 거북목 예방을 위한 바른 자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거북목은 평소 잘못된 자세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므로 자세에 조금 더 신경 써야 하겠습니다.
거북목 거북목 방치하지 마시고 거북목 진단을 받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올바른 경추 만곡을 만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