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가을,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고 알고 있지만, 사실 여름철 높은 온도 및 습기를 잡기 위한 냉방기기나 과도한 제습 기능의 사용으로 실내 공기기 건조해지며 여름철에도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 및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현대인들에게 더욱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 되고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거나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시리고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 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질환을 말합니다.

 

 

 

 

안구건조증 증상

 

① 눈이 시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으며 콕콕 쑤시는 느낌이 난다.

② 쉽게 눈이 피로하여 잘 뜰 수가 없고, 눈을 감고 있으면 편하며, 눈을 뜨면 증상이 심해진다.

③ 특히 겨울철 외출 시 찬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줄줄 흐르며, 심한 경우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④ 외관 상 눈이 충혈되어 있다.

 

이런 여러 증상은 한 사람에게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증상을 함께 보이게 된다.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있다.
□ 눈꺼풀이 무겁고 머리까지 아픈 것 같다.
□ 눈이 뻑뻑하다.
□ 눈앞에 막이 낀 듯하다.
□ 눈이 쉽게 피곤해져 책을 오래 못 본다.
□ 바람이 불면 눈물이 쏟아진다.
□ 이유 없이 자주 충혈된다.
□ 자고나면 눈꺼풀이 들러붙어 잘 떠지지 않는다.
□ 눈부심이 있으면서 눈이 자꾸 감긴다.
□ 눈이 쏟아지는(빠지는) 느낌이 든다.
□ 실 같은 분비물이 자꾸 생긴다.

□ 아침에 일어나면 찐득한 눈꼽이 낀다.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한 7가지 생활 습관

 

실내가 건조해지 않도록 40-60%의 적정습도 유지하기

② 자주 환기하기

③ 컴퓨터, TV,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하지 않기

④ 눈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⑤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기

⑥ 컬러렌즈 등의 콘텍트렌즈 사용 최소화하기

⑦ 과도한 메이크업을 최소화하기

⑧ 눈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⑨ 물 많이 마시기

⑩ 따뜻한 찜질 및 청결한 손으로 눈 주위 지압 및 마사지하기

 

 

안구 건강의 적신호, 안구건조증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염증 등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한 번 나빠진 눈은 다시 좋아지기가 어려우므로 미리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